
하인리히 베링거에 관하여
HEMA의 유명한 연구가인 케이스 파렐이 편집하고 제임스 에컷이 연구, 저술한 Science, Swords, and Society: German Martial Arts in the Middle Ages 라는 책이 2019년 3월에 나왔고 그룹 멤버가 사보았는데, 저자는 여러 사료를 추적해서 놀랄 만한 결론을 내고 있네요. 쓴 글을 그대로 인용합니다.
---------------------------------------------------------
책 자체는 요하네스 리히테나워의 일생과 그 주변인들의 교집합을 찾는 내용이었고, 특히 리히테나워 조직 멤버들에 관한 이야기가 많았음.
저자는 온갓 사료를 뒤지다가 새로운 검술서를 발견했는데,
바로 하인리히 베링거의 'Modus Dimicandi' 임
저자는 이 하인리히 베링거의 검술서를 이제까지 있었던 모든 '운율' 의 시초라고 생각하였는데, 그 이유는:
- 운율에 리히테나워가 언급되지 않음
- 자기 자신을 위해 작성된 기록
- 기록은 1416년 작성으로 초기 기록이라 볼 수 있음
저자는 이 베링거가 1419 년에 로스톡 대학에 입학하였음을 알 수 있는데,
재미있게도 로스톡 대학에 입학하고 다음 학기에 같은 과정으로 요하네스 리히테나워의 기록이 있음을 발견하였음.
이후에도 베링거가 나중에 라체부르크-슈베린 교구의 목사였을 때, 해당 교구의 높은 직급의 인원으로 리히테나워라는 이름이 발견되었음.
저자는 이 베링거가 리히테나워에게 영향을 주고 리히테나워는 이 운율을 차용하여 자신의 시스템을 구축한 것으로 보임.
꽤 의미있는 발견이라 윜테나워에서도 등록이 되어 있고 대략적으로 번역본도 볼수는 있는데, 사적인 기록이라 매우 짧은 운율임.
이후에도 저자가 이 사실을 기반으로 리히테나워 회 사람들의 행적을 뒤지는데 읽어볼만 함
----------------------------------------------------------------
요컨데 요하네스 리히테나워는 정체 불명이라고 여겨졌지만 하인리히 베링거를 따라 1419년에 로스톡 대학에 입학한 기록이 나타났고, 나중에도 같은 교구에서 함께 일했다는 것이 확인된다는 겁니다.
그리고 검결도 리히테나워의 것과 비교해 극히 일부의 내용이긴 하지만 아주 유사한데 보다 초기 기록이라 할 수 있고요. 실제로 실린 내용을 보면 젋은 기사여 배우라로 시작하는 것을 비롯해 존하우, 크럼프, 즈버크, 샤이텔, 쉴러 다섯가지 베기도 확인되네요. 리히테나워는 여러 검술을 배워 정리했다고 하는데 그게 사실이라 쳐도 하인리히 베링거의 검술을 기반으로 일부를 갖다붙였을 가능성이 더 높아집니다.
물론 MS3227a의 문제도 있지만, 추적을 보면 리히테나워는 확실히 14세기에 태어나 15세기에 일생을 보낸 15세기 마스터가 맞다는 결론에 다다르고, ms3227a에서 1389년의 종교 축일 달력은 그 문서가 검술서가 아니라 자기에게 유용한 여러 문서들의 일부를 떼어와 엮은 하우스북이라는 종류임을 생각하면 그냥 옛날 달력을 갖다 엮은 것일 뿐 실제 편집 연대는 15세기로 내려온다고 할 수 있습니다. 그러면 리히테나워류는 14세기 검술이 아니라 15세기에 창시 혹은 정립된 검술이라는 사실이 나와버립니다.
그렇다면 왜 베링거는 묻히고 리히테나워가 검술의 시조가 되었나, 그건 확실히 알 순 없습니다. 리히테나워가 베링거에게 검술을 전수하고 베링거가 검결을 만들어서 리히테나워가 자기 검술을 정립하는 데 영향을 줬다 라는 시나리오도 성립할 수 있을겁니다. 하지만 확실한 건 리히테나워 직전 체계에서 검결의 원형은 하인리히 베링거가 먼저 만들었고, 리히테나워는 그 영향을 받았다는 것은 부정하기 어려워진다는 겁니다.
덧글
레제니 피더나 블런트가 피닝에 본드 손잡이 고정인데 야외에서 훈련함은 물론 간혹 빗물에 노출된 적도 있는데 탱에 녹난적은 단 한번도 없었습니다.
저번에는 원 사료를 못찾으셨다고 하셨지않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