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러모로 테스트해본 결과, 실랏의 방식도 맞고 근대식도 맞고 왼손 활용하는 것도 다 쓸모가 있었다. 그런데 칼의 크기에 따라서 싸움의 전개의 열쇠가 달라진다.
17인치 이상의 칼날을 가진 정글도라면 실랏에서처럼 상대방의 팔이나 손을 잡거나 쳐내면서 들어가기에는 아주 위험부담이 따르고, 반드시 상대의 칼날을 내 칼로 막아내면서 순간적인 틈을 만들고 그때 진입을 해도 해야 한다. 물론 대형 도검에 비해 칼이 빠르기 때문에 그냥 막 들어가면 안되고, 결국은 개인의 단련과 센스 그리고 스킬에 달려 있었다. 그리고 상대방의 성향에 따르기도 한다. 통상 TFW같은 데서 만드는 고증 거친 필리핀칼이 날길이 19.5인치 정도니까, 내 17.5인치 정글마스터 마체트보다도 안정적으로 싸울 수 있다는 것. 결국 근대검술도 적용할 수 있고, 일루스트리시모 방식대로 싸우는 것도 가능하다.
날길이 14인치 정도의 짧은 칼날을 가진 물건을 가지고 했을 때는 칼날이 워낙 짧아서 칼로 막아내기가 오히려 더 확률이 떨어지고, 워낙 거리가 짧다보니 팔을 잡거나 쳐내서 막아내는 것이 더 나았다. 그러다보니 권법적인 스킬이 더 들어갈 여지가 충분했다.
문제는 어느쪽이든 자신이 배운 스킬 하나로 여러가지 무기나 상황에 적용하려는 경향이 강한데 무기의 스펙에 따라서 되고 안되고가 결정된다. 이런 점은 확실하게 인지를 해야만 자기 기술에 실망하거나 당황하지 않을 수 있다.
한편, 17인치 이상의 칼날을 가진 물건이라면 원거리에서 근거리로 들어가는 것에 대한 고민을 가질 법도 하지만, 사실 손을 보호하기 위해 자루를 몸에 붙이고 들어가기만 하면 결국 쉽게 근거리로 진입하게 된다. 상대방도 나를 공격하기 위해 결국 가까워질 수밖에 없기 때문. 그래서 상대방이나 내가 몸이 조금만 재빠르다면 순식간에 왼손을 사용하는 공방으로 진입하게 된다. 사실 모든 검술에서 찐따의 특징인 먼거리에서 칼만 붕붕 휘둘러대는 짓만 안하면 된다는 것. 그래서어떻게 보면 클로징-인에 대한 고민은 허황된 것일 수도 있으나, 서로 거리를 두고 상황을 보기 시작하면 적극적으로 손을 내밀어 미끼를 던지거나, 빠르게 도주하는 경우가 생기기 때문에 이때에는 근대검술의 런지와 패리&리포스트가 반드시 보완을 해주어야 한다.
14인치나 그 이하의 짧은 칼들을 사용할 때는 워낙 가까워지고 막아내기도 손이나 팔을 잡거나 하는 방식으로 이뤄지다 보니 사실 클로징 인에 대한 고민도 필요없다고 본다. 그런 고민 하기 전에 체력을 더 강하게 하고 몸을 더 빠르게, 유술 스킬을 더 늘리는 게 현실적일 것이다.
17인치 이상의 칼날을 가진 정글도라면 실랏에서처럼 상대방의 팔이나 손을 잡거나 쳐내면서 들어가기에는 아주 위험부담이 따르고, 반드시 상대의 칼날을 내 칼로 막아내면서 순간적인 틈을 만들고 그때 진입을 해도 해야 한다. 물론 대형 도검에 비해 칼이 빠르기 때문에 그냥 막 들어가면 안되고, 결국은 개인의 단련과 센스 그리고 스킬에 달려 있었다. 그리고 상대방의 성향에 따르기도 한다. 통상 TFW같은 데서 만드는 고증 거친 필리핀칼이 날길이 19.5인치 정도니까, 내 17.5인치 정글마스터 마체트보다도 안정적으로 싸울 수 있다는 것. 결국 근대검술도 적용할 수 있고, 일루스트리시모 방식대로 싸우는 것도 가능하다.
날길이 14인치 정도의 짧은 칼날을 가진 물건을 가지고 했을 때는 칼날이 워낙 짧아서 칼로 막아내기가 오히려 더 확률이 떨어지고, 워낙 거리가 짧다보니 팔을 잡거나 쳐내서 막아내는 것이 더 나았다. 그러다보니 권법적인 스킬이 더 들어갈 여지가 충분했다.
문제는 어느쪽이든 자신이 배운 스킬 하나로 여러가지 무기나 상황에 적용하려는 경향이 강한데 무기의 스펙에 따라서 되고 안되고가 결정된다. 이런 점은 확실하게 인지를 해야만 자기 기술에 실망하거나 당황하지 않을 수 있다.
한편, 17인치 이상의 칼날을 가진 물건이라면 원거리에서 근거리로 들어가는 것에 대한 고민을 가질 법도 하지만, 사실 손을 보호하기 위해 자루를 몸에 붙이고 들어가기만 하면 결국 쉽게 근거리로 진입하게 된다. 상대방도 나를 공격하기 위해 결국 가까워질 수밖에 없기 때문. 그래서 상대방이나 내가 몸이 조금만 재빠르다면 순식간에 왼손을 사용하는 공방으로 진입하게 된다. 사실 모든 검술에서 찐따의 특징인 먼거리에서 칼만 붕붕 휘둘러대는 짓만 안하면 된다는 것. 그래서어떻게 보면 클로징-인에 대한 고민은 허황된 것일 수도 있으나, 서로 거리를 두고 상황을 보기 시작하면 적극적으로 손을 내밀어 미끼를 던지거나, 빠르게 도주하는 경우가 생기기 때문에 이때에는 근대검술의 런지와 패리&리포스트가 반드시 보완을 해주어야 한다.
14인치나 그 이하의 짧은 칼들을 사용할 때는 워낙 가까워지고 막아내기도 손이나 팔을 잡거나 하는 방식으로 이뤄지다 보니 사실 클로징 인에 대한 고민도 필요없다고 본다. 그런 고민 하기 전에 체력을 더 강하게 하고 몸을 더 빠르게, 유술 스킬을 더 늘리는 게 현실적일 것이다.
덧글
개인적으론 실랏처럼 동작을 잘게 쪼게서 쓰는 것을 싫어했는데 의외로 실전적응용이었나 봅니다. 하긴 식민지 시대의 험악함을 견디던 무술이니...
반면 이탈리아 라졸로 패밀리에 전해진다는 잭나이프 격투술은 보다 펜싱적입니다. 돌진하기보다는 서로 눈치를 보고 다양한 빈틈 모션으로 상대를 유도하며, 공격이 들어오면 왼손으로 체킹하고 파고들어 찌르는 방식이더군요. 제 생각에는 이것도 서로의 싸움 경향에 따라 달라질 것 같습니다. 거리를 두고 틈을 봐서 싸우는 타입끼리 만나면 라졸로 스타일로 싸우게 될 것이고, 무작정 찍고 보는 사람이라면 바라우 수부가 잘 통하게 될 것이고요.
http://www.tabancatufek.com/forum2/printthread.php?tid=12516
스페인 단검결투같은데 이쪽은 그냥 망토로 걸러내고 찌르는 것 같습니다.
http://www.culturaspopulares.org/textos7/articulos/suarez.htm
그래도 역시 짧아서인지 달라붙어야 승패가 나나 봅니다.
그냥 짧으면 멀리서 휘둘러대는건 상대방 급소에 닿지도 않으니 가까이 갈 수밖에 없네요. 멀리서 붕붕대봐야 황금사원 찬바라, 아프리카/중남미 마체트 난동쯤인 해프닝으로 어영부영 끝나겠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