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부 사이프의 전투의 예술(Kunst des Fechten)

zairai.egloos.com

포토로그



????: 게임을 시작하지..... 시리아 내전


나는 너희들을 포용하기 위해 언어를 허용하고 권리를 보장했지

모든것은 우리의 국가를 위해서였네

하지만 너희들은 "ISIS"라는 존재를 이용하여

서방에 PC질을 하며 미국을 끌어들였지

하지만 왜 너희들은 진정한 동반자를 배신하고

다시금 토사구팽의 길을 걷는것인가?



자 여기 선택지가 있네

지금이라도 만비지와 라카에서 물러나고

PKK와 연대를 중단하는 것일세

평화를 저버리겠다면 나의 충성스런 군대와

지하드반군의 불벼락을 맞을것일세

과연 운명이 자네들에게 미소지을 것인가?

게임을 시작하지










트럼프가 미군 2600명의 철수를 발표한 이후로 상황이 빠르게 진전되고 있네요. 트럼프는 시리아 철수에 대해 비난이 강해지자 미군 철수 기한을 늦춘다고 발표하는 한편 에르도안과 전화통화를 하고 시리아 북부의 권한을 모두 맡긴다고 위임했다고 발표했습니다. 이것이 그동안 에르도안이 노리던 시리아 북부 국경지대 장악을 통한 터키 동부 PKK분리주의자의 테러를 막고 안정을 확보하는 최종 목표를 허락한 것에 다름아닙니다. 에르도안은 아예 단단히 벼르고 있었는지 터키 지원 지하드반군들이 대대적으로 쿠르드 점령지쪽으로 이동하고 있습니다.

(쿠르드와 인접한 터키 국경도시 자라불루스로 증원되는 터키군)

(만비지 방면으로 증원되는 터키 지원 반군, 터키의 괴뢰국인 시리아 공화국의 정규군을 표방하고 있습니다)


한편 쿠르드족도 급하게 태세전환을 시도하여 이미 철수발표가 난 당일 시리아 정부와 긴급 회의를 열었고, 그 결과 21일부터 타이거 부대가 급하게 이동 준비를 하는 내용이 부활한 이반 시도렌코 계정(https://twitter.com/IvanSidorenko1)을 통해 나왔습니다. 올해 1월달 이프린 함락 당시에는 정부군이 지원을 약속했음에도 정부군 영내 쿠르드군 통과, 2선급 부대인 향토방위군 NDF를 파견한 것에 그친 것을 생각하면 최정예인 타이거 부대가 진입한 것은 본격적으로 쿠르드를 보호할 의도가 있음을 뜻합니다. 또한 러시아도 쿠르드 보호에 협조할 생각인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현 시간부로 9시간 전에 러시아 대표단이 만비지에 입성했다고 하네요.


(만비지에서 타이거 부대 장병들과 친정부 민병대 "라카의 독수리 여단" 합동 사진)

(라카의 독수리 여단 사령관 파예드 콰넴, 왼쪽)

(만비지 교외에 전개된 시리아 공화국수비대, 단대호는 아직 불명입니다)

(만비지로 향하는 시리아 공군정보국 장병들)


이외에 시리아 제1기갑사단도 전개했다고 하고요. 쿠르드족 주축의 군사연합체 시리아 민주군(SDF)의 사령관인 마즐롬 코바니도 미군 철수에 따른 공백을 메우고자 모스크바와 다마스쿠스에 동의하기로 했다고 발표했습니다.

다들 연말연초 빅 이벤트로 알카에다가 드글드글한 이들리브를 주목하고 있었지만, 빅 이벤트는 생각외로 엉뚱한 곳에서 열릴 판으로 돌아가네요. 제 생각에는 러시아는 에르도안, 시리아, 이란, 쿠르드 모두에 영향력이 강력한 만큼 외교적 합의로 교전을 피하려고 방향을 짜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정부군의 주력 부대를 전개한 것도 그러한 압박 카드의 하나라고 생각이 되네요. 시리아 정부의 상태로는 터키군의 지원을 받는 지하드반군을 압도하기가 힘이 들고 러시아에 의지해야 하는데, 러시아가 터키라는 새로운 친구와 사이가 틀어지면서까지 터키군에 피해를 입힐 거라고 생각되지는 않거든요.

이들리브 작전을 위해 전개되었던 리와 알 쿠드스를 비롯 몇몇 부대와, 2016년 알레포 수복 전투에서 타이거 소장의 상관으로 전역 전체를 총괄한 지아드 살레 대장 등은 ISIS의 기가 다시 살아날 것을 우려했는지 데이르에조르 방면으로 증원되었습니다. 미군 철수와 터키의 위협으로 인해 유프라테스 강 동쪽의 ISIS가 반격을 가할 우려도 있고, 동부 사막지대에 은거한 ISIS잔당이 다시 준동할 것을 대비하는 것도 있겠지만, 이번 쿠르드족 지원이 절대 공짜가 아닐 것인 만큼 유프라테스 동부의 유전지대를 넘겨받는 협약을 체결했을 수도 있습니다. 유전지대를 장악하기 위해서는 마땅히 예비 병력이 필요하지요.

(데이르에조르 아부카말 시로 증원된 정부군)

(예하 지휘관과 회의중인 지아드 살레 대장, 중간의 선글라스 매부리코)


한편 7월 12일 반군의 항복으로 함락된 남부 다라 주의 주도 다라 시에서는 계속해서 흉흉한 소문이 들려오고 있네요. 정부군이 납치되서 참살당한다던가, 아사드를 증오하는 낙서가 발견된다던가, 시민들이 시내를 장악하고 있는 구 반군에 대해 항의 시위를 벌이거나 하는 등 치안상태가 그다지 좋아 보이지 않습니다. 정보부가 이미 위험분자에 대해 대량 체포를 행했는데도 상황이 이런 걸 보면 확실히 다라 주는 반 다마스쿠스 감정이 심하긴 한가 봅니다. 하기야 시리아 민주화 사태의 불씨가 발화한 곳이니까요.

다라 시내는 구 반군이 장악하고 있는데 정부군이 들어와서 통제하면 시민들에게 무슨 짓을 당할 지 몰라서 안면 있는 동향 사람들로 구성된 구 반군을 현지 치안군으로 인정하고 계속해서 일을 시키는 모양입니다. 사실 이게 더 안정적이지요. 상황이 걸핏하면 뭐 터지던 예전보다는 나아졌을 텐데도 상황이 마땅찮은 걸 보면 구 반군이 통치를 이상하게 하던가 정부측 상전과 충돌이 있던가 그런 모양입니다. 사실 동부 고타에서 자이쉬 알 이슬람이 요구한 지위가 바로 이런 것이었지요. 자신들의 자금과 무장을 허락하고 친정부 지역 경찰로 기득권을 인정하라는 것이었는데, 만일 그랬으면 지금 고타 지역도 이렇게 시끄러웠지 싶네요.

핑백

  • 아부 사이프의 전투의 예술(Kunst des Fechten) : 트럼프의 시리아 철수와 쿠르드족의 향방 2019-10-08 21:51:55 #

    ... 도 정부군이 통제하는 T2펌프장을 가동하지 않으면 기름을 뽑아낼 수가 없어서 어쨌든 정부군과 장기적으로 협력할 수밖에 없고, 이미 이프린 주 일부나 만비지 시에서 시리아 정부군과 합동방어를 실시한 적도 있어서 언제든지 협력할 준비가 되어있습니다. 이에 오늘 시리아 민주군(SDF) 총사령관 마즐렘 아브디는 "우리는 터키 군과의 싸움을 ... more

덧글

  • 2018/12/26 23:02 # 답글 비공개

    비공개 덧글입니다.
  • 2018/12/26 23:29 # 비공개

    비공개 답글입니다.
  • 2018/12/27 00:03 # 답글 비공개

    비공개 덧글입니다.
  • 함부르거 2018/12/27 00:46 # 답글

    러시아가 중재안을 내놓는다면 쿠르드족은 시리아 정부의 보호하에 들어가는 대신 독립 같은 건 다 포기하는 정도가 되지 않을까 싶네요. 이러면 내전 전과 다를 게 없는데 몇년동안 왜 저 난리를 치뤘는지 모르겠다는 문제가 있긴 합니다만... -_-;;;;
  • 참피사냥꾼 2018/12/29 00:35 #

    그래도 정부에 의존하지 않은 대 is투쟁이라는 의의는 남지 앉을까요
    민주군 점령지는 쿠르드 거주지도 한참 넘었으니
  • 드사아 2018/12/27 01:01 # 삭제 답글

    협상의 주도권이 정부 쪽으로 화악 넘어오겠네요.
  • Fedaykin 2018/12/27 11:23 # 답글

    쿠르드의 미래는 과연...흐으음...미국은 손절을 했군요
  • Sardaukar 2018/12/27 12:14 # 삭제 답글

    TFSA에 대해 아시는게 있으신가요? 터키 지원 반군이라는것밖에 모르는데 개인화기는 러시아/중국제 소총과 기관총을 쓰더군요.
  • abu Saif al-Assad 2018/12/27 18:48 #

    Turkish-backed Free Syrian Army의 약자로 구 반정부군 중 터키의 지휘하로 들어간 그룹들을 지칭합니다. 함자 사단(카티밧 알 함자), 술탄 무라드 사단 등이 대표적입니다. http://en.wikipedia.org/wiki/Turkish-backed_Free_Syrian_Army 에 자세한 소속 그룹들이 나타나 있습니다.
  • 2018/12/27 13:32 # 답글 비공개

    비공개 덧글입니다.
  • 2018/12/27 19:07 # 비공개

    비공개 답글입니다.
  • 스카라드 2018/12/27 18:19 # 답글

    작년 연말에는 내년초에 시리아 내란이 종지부를 찍겠구나 하고 짐작했는데 어느새 또 한해가 다 가고 있어요. 2019년. 봄이 오기 전에 시리아 내란이 종전을 맞이할 수 있을지? 의문입니다. 에르도안이 무슨 사고를 치지 않았으면 좋을 것 같아요.
  • 알카시르 2018/12/27 22:21 # 답글

    쿠르드족은 참 가엾네요. 인구가 많고 역사가 오래 되었는데도 자기 나라를 갖지 못하다니 말이죠. 우리 나라의 독립 운동이 연상되는군요. 그나저나 터키와 이라크의 쿠르드족은 엄청난 탄압을 받았다던데 이란이나 시리아의 쿠르드족은 비교적 온당한 대우를 받았나요? 아랍 민족주의자인 후세인이 쿠르드에 적대적이었으니 역시 아랍 민족주의자인 하페즈나 바샤르도 쿠르드엔 적대적이었을 줄 알았거든요.

    터키가 비록 미국의 동맹국이지만 요즘엔 반미, 친러 행보를 밟던데요. 그런 터키한테 시리아 북부를 양도해버리다니 트럼프의 속을 알 수가 없네요.

    터키의 쿠르디스탄노동자당이 테러 단체로 비난받지만, 그네도 탄압과 학살을 당하는 민족을 구하기 위해 어쩔 수 없이 그랬던 것이 아닌가 하는 생각도 드네요. 우리 민족도 독립을 위해 테러리즘을 수단으로 쓰기도 했으니 테러리즘에 호소했다고 해서 일방적으로 비난할 수는 없을 듯도 합니다. 안중근이 이토를 죽였고, 김구도 치하포에서 민간인을 죽였지만 절세의 애국자라고 평가받는 것을 보면 더욱 그런 생각이 듭니다. 혹시 외잘란도 터키인 입장에서나 범죄자고 극악인이지, 쿠르드인 입장에선 의사이자 애국자가 아닐까요?
  • ㅊㅊ 2018/12/27 22:51 # 삭제

    시리아도 아사드 부자정권 시절이던 1986년과 2004년도에 쿠르드족이 봉기를 일으킨 적이
    있었던걸로 기억합니다.특히 2004년에 발생한 카미술리 소요사태가 가장 유명하죠.
  • 쿠르드좆댐 2018/12/27 23:23 # 삭제

    그반미 친러테크탄것도 오바마가 싼똥인 터키거르고 쿠르드 선텍하고 쿠르드 밀어줘서죠
    쿠르드 보호와 pc짓은 덤
  • abu Saif al-Assad 2018/12/28 00:25 #

    시리아에서는 시민권도 참정권도 얻지 못하고 하층민으로 살았습니다. 민주화 사태 때 비로소 아사드 대통령이 시민권 부여를 발표했는데 그때는 정국전환용 공수표 남발 행위로 받아들여져서 아무도 신경쓰지 않았습니다. 사실 아랍인들은 쿠르드인에 대해 상당한 멸시 감정을 가지고 있고 과거에는 이단종교를 믿은 것에서부터 유래해서 지금은 국가를 분열시키고 독립같은 헛소리 한다고 싫어합니다. 그리고 쿠르드족은 거짓말을 잘하고 통수를 잘친다 같은 편견도 있지요. 국내에서 헬프시리아 라고 반정부 구호단체 운영하는 시리아인도 반쿠르드 성향을 인터뷰에서 내보인 바 있지요.

    쿠르드인들의 생각도 제각각인데 터키 동부 쿠르드인들도 온건정당이 있고 PKK지지자도 있는데 둘 사이도 좋지 않습니다. 그냥 이대로 살자는 여론도 만만치 않아요. 사실 과거 중동세계는 지배자만 바뀌면 그만이지 각 지역은 나름대로 작은사회를 유지해서 세금만 바치면 지배층도 간섭을 안했고 그래서 쿠르드어를 쓰고 종교와 문화를 공유하지만 그냥 지역별로 서로 듣도보도못한 자들로 살았습니다. 부족이나 마을 단위가 훨씬 중요했죠. 그런데 민족주의가 발흥하고 국가가 작은 사회를 해체하고 구석구석까지 통제하면서 이렇게 충돌이 벌어진거죠. 그래서 쿠르드족도 이라크 쿠르드와 시리아 쿠르드, 터키 쿠르드들이 각자 이해관계나 노선이 다릅니다. 원래 시리아 쿠르드도 시리아 국가 내부에서 권익을 확대하자는 파가 있었고, PKK와 연대해서 독립하자는 파가 있었는데, 시리아 민주화 사태 당시 온건파는 쥐도새도 모르게 죽어나갔습니다. PKK연대 과격파의 짓이라고들 보고 있지요.

    비슷하게 압둘라 외잘란을 지지하는 터키 쿠르드도 있지만 싫어는 안해도 탐탁찮아 하는 쿠르드도 있지요.
  • 알카시르 2018/12/28 01:10 #

    abu Saif al-Assad/터키는 시리아 쿠르디스탄을 완전히 자국령으로 합병하려는 듯한데, 시리아에겐 이를 막을 힘이 없습니다. 러시아에게 손을 벌리는 수밖엔 없지만, 이미 친러국가가 되었고 시리아보다 더 이용 가치가 큰 터키가 러시아에게 더 예뻐 보일 테니, 결국 시리아가 영토를 빼앗기는 것은 기정사실일까요?

    쿠르드족이 이단종교를 믿는다 하여 멸시받는다 하셨는데, 쿠르드족은 대다수가 순니파 무슬림 아닌가요? 야지디족이 쿠르드어를 쓰기는 하지만 이들은 야지디족이라고 불리는 것에서 알 수 있듯이 쿠르드족과는 다른 민족으로 분류하는 듯하네요.
  • 알카시르 2018/12/28 01:15 #

    쿠르드좆댐/미국이 쿠르드족을 지원하기 시작했을 땐 터키가 시리아 내전에 참가하기 전이었고 자유 시리아군엔 여러 가지 문제가 있다고 하여 인상이 나빴기에 쿠르드족이 이슬람 국가에 맞서 미국이 지원할 만한 유일한 세력이라 여겨 지원한 것이고, 딱히 터키의 쿠르드족을 지원한 것도 아니니 터키가 불만을 품을 여지는 없지 않을까요?
  • abu Saif al-Assad 2018/12/28 01:29 #

    쿠르디스탄이라고 하기도 뭐한게 쿠르드족은 이프린, 코바니, 카미실리 쪽에 좀 살았지 대부분은 아랍 부족들이 살고 있었습니다. 지금도 쿠르드족은 SDF의 조직 아래 아랍 부족들의 지원을 받고 있습니다. 또 지금은 대부분 수니파 무슬림으로 개종한지 좀 되었지만 옛날에는 이교도 비율이 높았다고 합니다.

    러시아의 입장은 시리아와 완전히 동일합니다. 이점에 대해서는 여러차례 천명한 바 있습니다. 다만 당장의 사태를 모면할 해법을 내놓는다는 것이지요.
  • 쿠르드좆댐 2018/12/28 10:51 # 삭제

    알카시르 //아뇨 터키쿠르드뿐만이 아니라 타국 쿠르드도 쿠르드라면 경기일으키는게 터키인데요;;

    당장 불만품을 여지없다는 그쿠르드지원 터키가 노골적으로 계속 불만표시했는데요?
    거기에 터키가 시리아내전 간접개입 모드였다 본격적으로 발밀어넣은게 쿠르드 때문인데요?

  • 알카시르 2018/12/28 12:51 #

    이란과 이라크가 전쟁을 벌일 때 서로 상대국의 쿠르드족을 지원하여 반란을 일으키게 했다고 들었습니다. 그래서 중동 나라들은 자국 쿠르드족은 탄압하지만 타국 쿠르드족은 굳이 지원까진 안 해도 응원한다고 생각했습니다. 예를 들어 시리아 쿠르드족이 독립하면 터키 입장에선 시리아가 스스로 약해지는 것이니 좋은 일이라 생각했지요. 어차피 쿠르드족은 오랫동안 떨어져 살아서 자기네끼리도 동질감이 거의 없으니 시리아 쿠르디스탄이 독립해도 터키의 쿠르드족이 크게 동요하진 않을 것입니다. 그런데 이란이나 이라크완 달리 터키는 타국 쿠르드에게도 적대적인가 보군요.ㅠㅠ
  • 쿠르드좆댐 2018/12/27 23:22 # 삭제 답글

    타이거부대까지 들어간거보면 사실상 무조건항복했나보군요

    프랑스로 미국을 대체할려고 시도한거 같던대 될리가 없으니ㅋㅋㅋ

    터키가 받아들일만한 중재안을 러시아가 내놓을거 같은데 과연 러시아의 중재안이 뭘지 궁굼해지네요
  • abu Saif al-Assad 2018/12/28 00:26 #

    프랑스는 리비아 사태 당시에도 무기가 바닥을 드러내서 미국에 SOS친 친구들인데 쿠르드족을 지원이나 제대로 해줄 수도 없겠죠. 지금 유류세 올리려다 정권이 결딴날 판인데 많은 예산과 군대를 소모할 쿠르드 지원을 할 수도 없는 노릇이고요. 될 리가 없죠.

    러시아의 외교적 한수가 뭘지 두고봐야겠습니다.
  • 알카시르 2018/12/28 01:21 #

    프랑스가 옛날만큼 강하진 않지만 그래도 러시아를 제외하면 유럽 최강국이고, 노란 조끼 운동을 일으킨 PC충에겐 쿠르드가 어여쁠 터이니 마크롱이 쿠르드족을 지원하겠다고 선언해도 의외로 국민에게 큰 지지를 받지 않을까요?
  • abu Saif al-Assad 2018/12/28 01:33 #

    미국이 무슨 수렁에 빠졌는지 잘들 봤으니까요. 지금도 시리아 이라크에 파병된 상태인데 별로 대단한 일을 하는 건 못봤습니다. 이라크에서 포병대로 모술 전투 당시 정부군을 지원하는 정도만 봤지요. 시리아에서도 비슷한 일만 할 겁니다.

    노란 조끼 운동은 서민생활에 직결되는 유류세 인상에 따른 서민층의 분노가 원인이지 PC적인 가치 때문에 일어나진 않았습니다. 지금이야 시위의 물결에 별별 세력들이 탑승해서 자기 소리를 내고 있는데 그중에는 극우파도 있기 때문에 PC랑은 별반 상관없습니다.
  • ㅁㅁ 2018/12/28 03:56 # 삭제

    프랑스는 ISIS격퇴때문에 간거지 쿠르드족 도와주려고 간게 아님

    쿠르드는 ISIS사라지면 도와줄 이유가 없음 프랑스국민도 ISIS한테 복수하라고 군대파견 허락한거지 거기 정치질에 끼어들라고 보낸거 아님
  • 쿠르드좆댐 2018/12/28 10:58 # 삭제

    알카시르 /잘못알고계시는데 경제최강국은 독일이고 군사력은 영국이랑 비슷함;;

    거기에 해외투사력 고자고요
    리비아 개입때 개삽질하고 말리개입때는 그병력 투입하는데 미군수송기와 정찰자산 도움받았습니다;;
    해외투사력만 보자면 영국만도 못하다는 평까지 나오는 판이고요

    군수지원 정도가 아니라 쿠르드가 원하는수준 지상군 지원할려면 미국서포트 필수에요
  • 알카시르 2018/12/28 12:57 #

    유럽 나라들이 그 정도로 약한가요? 제2차 세계 대전 때만 해도 미국과 대등한 수준의 강국이었던 영프독이 왜 이렇게 추락했는지 모르겠네요.ㅠㅠ 물론 영프에겐 핵무기가 있으니 한국보단 강하겠지만, 혹시 재래식 무기만으로 비교하면 러시아를 제외한 유럽 어느 나라도 군사력이나 해외 투사 능력은 한국만도 못한 것 아닐까요?
  • abu Saif al-Assad 2018/12/28 14:56 #

    냉전 끝나고 군축을 심하게 하는 바람에 꼴이 말이 아니게 되어버렸지요. 독일군은 전투기 가동률도 처참한 수준으로 추락했고요. 러시아가 소련 시절에 비하면 아무것도 아닌 30만 좀 안되는 병력을 보유하고 있는데 유럽친구들 이조차도 미국 없으면 못막는다고 할 정도입니다. 친서방 노선을 택한 폴란드 등 구 동구권 국가가 오히려 더 강할 정도이지요.
  • KittyHawk 2018/12/29 13:35 # 답글

    쿠르드에겐 외교적 능력을 제대로 갖춘 명사들이 부족한 것도 고전을 면치 못하는 원인이라는 지적도 떠오릅니다. 타밀 반군도 그런 문제로 망해간거라고 하니...
댓글 입력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