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부 사이프의 전투의 예술(Kunst des Fechten)

zairai.egloos.com

포토로그



시리아 남부전선 ISIS격퇴 근황 시리아 내전

(이슬라믹 월드 뉴스 7월 26일자 맵)


ISIS 칼리드 빈 왈리드 군대가 장악하고 있는 남부전선 다라 주 최후의 포위망도 전선 돌파가 이루어졌습니다. 그동안은 후방을 위협할 가능성도 있는 다라-쿠네이트라 반군들이 완전히 철수하지 않았기 때문에 작전이 공습과 소규모 전투 정도로 이루어졌지만 그래도 꾸준히 마을들을 점령하고 있었는데요. 타이거부대가 출진하면서 전선이 확 뚫려버렸습니다. 이미 이전부터 반군이 IS에게 넘긴 알 말라카를 비롯한 3개 마을은 털어버렸고 그랬지만 타이거부대가 나서면서 아부 다카르, 아부 하타인, 루우헉, 무사이리티야, 카담 아잼 , 샤블락 등의 주요 지점을 우수수 점령했네요. ISIS측은 자살폭탄차량으로 정부군의 전차 2대를 격파했다고 주장했지만 대세를 막을 순 없어 보입니다.

(타이거부대의 ISIS대항 전투를 다룬 ANNA뉴스의 다큐)



(타이거부대가 노획한 차량들)


(분석 채널 South Front의 25일자 전황 설명 영상)

한편 이스라엘이 시리아 공군의 Su-22를 격추했습니다. 이스라엘은 시리아 공군기가 영공 2km를 침범했기 때문에 격추했다고 주장했으며 시리아군은 아니라고 하는데 실제 기체가 ISIS장악지역에 떨어졌기 때문에 이스라엘이 실수했을 가능성이 높아보이네요. 며칠 전 시리아군이 토치카 지대지 미사일 2발을 발사했는데 처음엔 이스라엘로 오는 줄 알고 다비드 슬링 요격시스템을 가동했다가 ISIS지역에 떨어지는 걸 알고 나선 중간에 자폭시켰다고 합니다. 이스라엘이 쓸데없이 과민반응을 보이네요. 스폰해주던 반군이 사라질 지경이 되니 신경이 예민해지긴 한 모양입니다.

한편 시리아 현장에서 다수의 정보원들을 동원 1차 정보를 제공해주던 트위터 계정 이반 시도렌코(@Ivansidorenko01)이 삭제된 이유에 대한 답변을 러시안 플랫폼계정이 받았는데 봇이 운영하는 것으로 추정되는 계정을 일괄 삭제하는 과정에서 삭제했다고 합니다. 누가 봐도 말이 안되는 답변이지요. 유튜브에서 폭력 테러 컨텐츠 관련으로 헤즈볼라, 친정부 계정을 삭제한 것과 다르지 않은 분탕질이라고 봅니다. 한시바삐 이반 시도렌코 계정이 살아났으면 좋겠습니다.


덧글

  • 시민 2018/07/26 23:05 # 삭제 답글

    텔레비전에 이 전투에서 민관 합쳐 약 220명 가량이 죽었다고 나오더군요.그런데 시리아가 중국으로부터 지원을 받은 적 있나요? 수단이나 파키스탄은 중국제 소총이나 중국제 차량,전투기 등을 애용하던데 레반트 지역에서는 잘 안보이더군요.59식 전차 정도는 있나 싶긴 합니다.
  • abu Saif al-Assad 2018/07/26 23:31 #

    중국에게서는 외교적 지원 말곤 딱히 받은 게 없는 것 같더군요. 북한이 동맹관계여서 총기와 탄약을 제공하고 일부 북한제 무기 사용을 위한 고문단을 파견한 적은 있습니다. 중국제 전차는 이란-이라크전때 사담 후세인 정권과 이란 정부가 수입해 사용했던 걸 쿠르드족 페쉬메르가가 일부 가지고는 있습니다.
  • 수호이 2018/07/27 18:40 # 삭제

    예전에 반군측에서 북한군 참매부대 2개대대가 시리아내전에 파견되어 활동중이고 전투력이 막강하다는 폭로를 한적이 있는데 혹 관련소식을 알고 계시나요?
  • abu Saif al-Assad 2018/07/27 20:41 #

    북한군이 2개 대대나 움직인다면 티가 안날 수가 없습니다. 어지간한 민병대들도 대대급 조금 넘는데요. 심지어 그렇게 뛰어난 전투력을 자랑한다면요. 반군측은 아무 루머나 막 던지고 보는 경향이 있어서 실제로 드러나지 않는 이상은 일단 부정하고 봐야 합니다.
  • 수호이 2018/07/27 20:53 # 삭제

    2016년에 평화협상에 참여한 반군대표가 언급한건데 우리나라언론에 크게 났던 기억이 생각나서요.부대이름은 착각했네요.참매가 아니라 철마-1,철마-2라고 하던데...물론 사진 1장 공개된적이 없어서 신빙성은 의심하고 있지만요.뭐 고문단정도는 있겠지요. 항상 소식 감사드립니다. 시리아내전에 관해 제대로 된 소식을 전해주는 곳이 거의 없어서요...
  • abu Saif al-Assad 2018/07/27 21:26 #

    일단 시리아 내전에서 네임드 급 민병대라고 해도 중대 대대단위로 쪼개져서 움직이고 2~3개 대대급 규모로 여단 연대를 자처하고 다니고 그러니까 최정예 2개 대대가 투입되었다면 전선이 요동을 안칠 수가 없고 포로가 안 잡힐 수가 없지요. 안그래도 아프간 난민 부대들 포로들 가지고 2013년 내내 북한군 잡았다고 말이 많았는데 전부 아프간 난민이었지요. 뭔가 티가 나야 합니다. 그런데 티가 안난다는 건 그냥 없다는 것이죠. 북한군이 지원한 총기 중 74식 대대기관총 등의 사용법이 기존 동구권 장비와 틀려서 그런 거 교육하러 다닌다고 하니 후방 훈련소에서 북한제 무기 교육 하는 정도일거라 봅니다.
  • 드사아 2018/07/27 02:58 # 삭제 답글

    스웨이다하고 동부 사막에도 아직 잔당이 끈질기게 명줄을 잇고 있는 것 같은데 빨리 정리되었으면 하네요.
  • 터프한 얼음대마왕 2018/07/27 06:53 # 답글

    시리아 내전의 정부군의 승리라도... 미국의 러시아 군인 200명 사살, 러시아가 들인 전쟁 비용 문제, 이스라엘의 몽니를 본다면 잠재적인 갈등과 위험은 남아 있네요. 기존의 국제정치의 패러다임의 변화가 벌어질 것 같은데. 시리아 내전이라고 하기엔, 국제전 급의 개입이라 국제정치의 뜨거운 감자인 '시리아' 로서 아사드 정권이 이겨도 언제 또 위태로울지 모르겠네요. 아랍 상황은 이란은 다시 재재-압박, 터키는 에르도안 체제와 경제 불황, 사우디는 빈 살만은 잘 하고 있으려나? 예멘은 여전히 전쟁중. 예멘은 전쟁이 좀 오래 갈 것 같고. IS는 소멸 직전이지만, 유럽의 이슬람과 난민 문제를 보면 언제 부활할지 모르고. 아랍의 봄 이후의 마그레브 지역의 혼란도 마찬가지고... 이대로 소강 상태 지속, 아니면 정리냐, 나중에 또 터지냐? 불안불안 합니다.
  • 수호이 2018/07/27 10:41 # 삭제 답글

    폭격으로 죽은 러시아군은 정규군이 아니라 PMC즉 용병이라서 별 문제가 안됩니다. 미국 등 서방도 시리아내전,예멘내전에 PMC를 대거 파견했고 또 많이 죽었습니다. 러시아의 전쟁비용도 예비비에서 지출한거라서 생각보다는 러시아의 재정상황에 많은 영향을 끼친 것 아닙니다.무기팔아서 보전가능할 정도니까요.그리고 최근 유가도 오르고 있기 때문에... 최근 연금개혁으로 푸틴지지율이 떨어지고 있지만 원래 연금개혁이란게 정치인 누구도 손대기 싫어하는 문제라서..니카라과사태를 보면 알죠.
    그래도 시리아내전끝나고,예멘내전도 소강상태에 접어글면 중동도 큰 소란없이 한동안은 조용할겁니다.
    서방과 중동왕정국가들이 아랍의 봄을 틈타 카다피 몰락시키고 시리아내전 개입했다가 난민사태등 온갖 문제가 발생해서 뒤치닥거리 하기 바쁘기때문에 당분간은 큰 문제발생하는걸 싫어할겁니다. 뭐 자업자득이지만요
  • ..... 2018/07/30 02:01 # 삭제 답글

    여기 주인장 자꾸 이스라엘 이야기만 나오면 이상하게 반응하시네요. 거참. 지난 번에 방공망 털렸을 때도 시리아 쪽 입장만 쓰시더니.
    영공 2km 침범한 전투기 격추시키면 그 잔해가 ISIS 영토로 떨어질 수 있어요. 항공작전에서 2km은 거리도 아닌데. 진입 중에 떨어진 게 아니라 실수를 알아채고 비행기 돌리다가 떨어질 수도 있고 미사일 회피기동 하다가 떨어질 수도 있지요. ISIS 영역에 기체가 떨어졌다는 것은 아무 것도 시사하지 않습니다. 물론 이스라엘이 실수했을 수도 있지만 전투기 조종사가 실수했을 수도 있어요.
  • ㅇㅇ 2018/07/30 08:06 # 삭제

    저도 따로 편들 생각은 없고 주인장이 누굴 편을 드는 건 본인 자유와 생각의 자유가 있는데 왜 이상하네 어쩌네 소리가 왜 나오나요? 그냥 마음에 안드는 의견이 싫으면 안오면 될걸 말이 그렇게 많아요?
  • 아사드 2018/07/30 10:16 # 삭제

    이스라엘이 그냥 쐈을거라 보는게 더 합리적이지요. 조종사가 실수해서 떨어졌다고 보기에는 국경과 거리가 꽤 되더군요.
댓글 입력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