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부 사이프의 전투의 예술(Kunst des Fechten)

zairai.egloos.com

포토로그



재건의 시리아 시리아 내전



정부군에 수복된 지역들이 착실히 재건되어가는 영상이네요. 시리아 내전의 친정부 마토메 사이트 역할을 하는 R&U비디오 채널의 영상입니다. 진행상황이나 위치를 지도로 먼저 보여주고 영어-러시아어 설명이 간략하게 들어가기 때문에 대략적인 사정을 참고하면서 보기 좋습니다. 시리아 내전 상태 보면 그냥 대충 망한 북두신권 세상 같아 보이는데 저 물자들과 중장비들이 어디서 나타났는지 희한하네요. 두산중공업 파워로더도 보이고요.

덧글

  • 터프한 얼음대마왕 2018/06/25 19:13 # 답글

    전쟁 이후 국가 재건은 기업들한테 좋은 기회죠. 건설업, 경공업, 제조업 등. 폐허가 된 전후 국가에 진출해 현지인들의 신망을 얻든, 승전국-연합국-점령국과 함께 뭘 하든 어떠한 전쟁이라도 이후 재건을 할때는 몰려와 활동을 하죠. 이라크는... 부시 정부가 이라크 내 재산들과 기업들, 후세인 세력과 바트당 처리를 아주 형편없게~~ 해버려서 10년간 시달렸죠. 재정적자가 20조 달러를 넘어서 부시-오바마의 잔재를 치워야 할(아프간, 이라크 등) 트럼프로서 돈, 돈, 돈이라 말해댄 요인이 어느정도 공감이 갑니다. 여담으로 이슬람 수업을 들으면서 전쟁이 터지면 기업들은 호재로 여긴다. 특히 건설업. 왜? 다시 세워야지 라면서요. 이 영상을 보면서 그게 떠오르네요...

    시리아는 이라크 전철과 매우 다르지만... 러시아와의 관계도 돈독하고, 내전도 이겨가고, 내전의 진상도 알려질대로 알려지고. 전후 재건의 정보들을 보고 이라크와 아랍의 봄 이후 아랍 국가들(이집트, 알제리, 리비아 등)과 달리 잘될 것 같습니다.
  • 제트 리 2018/06/26 00:31 # 답글

    이런 걸 보면.... 나름대로 돌아 가는 군요.....
  • etellate 2018/06/26 16:30 # 삭제 답글

    시리아 관련 포스팅 전부 정독하고 오는 길입니다. 슬프지만 읽으면 읽을수록 이슬람은 그냥 답이 없다는 생각이 드네요. 체제로서의 공산주의를 매우 싫어합니다만 그럼에도 중앙아시아와 중동의 현실을 비교해보면 이슬람 원리주의 예방주사로서의 효능만큼은 인정하지 않을 수가 없습니다. 팔라비를 내쫓은 자리에는 어디에나 호메이니가 나타나는군요... 새삼 호메이니식의 신정국가가 이 지역에서 그다지 낯선 모델이 아니라는 생각이 듭니다. GCC왕정들은 본질적으로 팔라비가 아니라 호메이니에 가깝다고 해야겠습니다.
  • abu Saif al-Assad 2018/06/26 18:21 #

    도시민이나 사회지도층이야 사회주의, 서구화, 국가정체성 확립 등을 내세우지만 시골 사람들이나 경건한 사람들은 과거의 종파, 부족, 이슬람 정서가 강한 것이 근본적인 문제였지요. 그럼에도 불구하고 과거에는 서구화가 피할 수 없는 물결이고 종교적 무언가는 옛날 옛적의 무언가로 여겨졌지만 이란혁명이 모든 걸 바꿔버렸지요.
  • 아사드 2018/06/27 02:16 # 삭제

    근데 시리아는 공산주의 아닙니다. 세속주의 독재국가이긴 하지만요. 이슬람독재보다 나은 거죠.
  • etellate 2018/06/27 08:20 # 삭제

    시리아가 공산주의 국가란 얘기가 아니라, 공산주의 덕분에 중앙아시아에서 원리주의 세력이 미약한 걸 보면 이슬람은 차라리 공산독재라도 경험하는 게 나을 정도로 답이 없는 종교란 얘길 한 겁니다
  • etellate 2018/06/27 09:54 # 삭제 답글

    그나마 트럼프가 시리아에서 손을 때는 모양새라 정말 다행이네요. 소련 견제하겠다고 아프간에서 탈레반을 키운 전철을 부디 밟지 않길 바랄 따름입니다. 미국도 학습이란 걸 알텐데 러시아든 독재자든 원리주의자들보단 낫다는 건 충분히 알겠죠.
  • KittyHawk 2018/07/08 13:58 # 답글

    시리아에선 원유가 채굴되는 걸로 아는데 이후의 경제재건에 얼마나 도움이 될 수 있을지 궁금해집니다.
댓글 입력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