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부 사이프의 전투의 예술(Kunst des Fechten)

zairai.egloos.com

포토로그



HEMA Review의 되브링어 피더 리뷰 무장의 세계



시제품 시절부터 봐온 제품이죠. 날은 아주 두껍게, 그대신 혈조를 특별히 깊고 넓게 파서 무게를 조절한 것은 좋고 밸런스도 다 좋은 모양입니다만, 휘어지는게 마음에 안드네요.

덧글

  • gewag 2015/06/03 16:20 # 삭제 답글

    근데 전부터 궁금한게 서양 중세도검 보통 아밍소드라 부르는 도검은 왜 칼날의 폭이 검끝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걸까요? 뭔가 찌르기나 베기에 유리한 점이 있는 건가요?
  • 앤드류 체이스 커닝햄 2015/06/03 17:15 #

    그래야만 밸런스가 손잡이 쪽으로 이동해서 휘두르고 멈출 때 몸에 가해지는 부담이 없이 원하는 대로 조작할 수 있습니다. 물론 정교한 조작이 가능하므로 찌르기 지점도 세밀하게 선택해서 할 수 있습니다. 사실 위력만 보면 끝으로 갈수록 무작정 커지는 게 좋습니다. 고대 그리스의 크시포스에서 볼 수 있는 나뭇잎 모양의 칼날 형상이 그런 이유로 그렇게 생겼습니다만 점차 밸런스와 통제력을 중시하면서 그런 형상은 금방 사라집니다. 또 크시포스나 글라디우스 같은 칼은 상당히 짧았기 때문에 그렇게 만들고도 통제가 가능했지만 검이 길어질수록 그런 형상으로는 제대로 쓸 수가 없었습니다.
댓글 입력 영역